- 2023 서울 초수 합격수기
- 최*원 / 2023.02.22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저는 이번 2023년도 체육임용에 초수 응시하여 최종합격한 최영원이라고 합니다. 우선 저와 1년 동안 같이 열심히 달려주신 규훈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저도 작년 이맘때 쯤 여러 합격수기를 보며 많은 도움과 힘을 얻었는데 이렇게 합격수기로 공부를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추가적으로 저는 대학교 4학년이신 초수생분들의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1차 점수는 전공 70점, 교육학 17.67점으로 컷 점수인 86.67보다 1점 높았습니다.
고득점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제가 목표로 한 점수였기에 자신감을 가지고 2차까지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전공을 공부할 때 꼭 필요한 몇 가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①노트정리
여러분들이 1~6월 기본강의를 들으실 때 해야할 것은 노트정리입니다. 시험 마지막 날까지 반복해서 보고 들어갈 나만의 노트가 있어야 시험 때 내 머릿속에서 정답을 인출하여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공부할 때 규훈샘이 제시한 노트정리 방법을 그대로 실천했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3공 바인더 노트를 활용하여 왼쪽에는 Vzonemap에 나온 목차대로 노트정리를 하고 오른쪽에는 제가 풀었던 모의고사에서 틀린 문제들의 오답노트를 작성했습니다.
위와 같이 노트정리를 할 때 한 번에 완성시키기 보다는 개념강의를 듣고 몇 번씩 노트정리를 해보고 시행착오를 겪으며 내가 보기 편한 노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저는 이런 방식으로 모의고사 시즌 전 까지 노트를 만들었고, 시험 전날까지 이 노트들을 반복해서 보며 시험에 나올 것 같은 중요한 개념들을 좁혀가며 암기하였습니다.
②기출문제
기출문제는 우리가 치는 임용이라는 시험에서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기출되었던 개념이 반복되거나 그 옆에 있는 개념이 새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시험에서는 풀 수 있는 문제와 풀 수 없는 문제가 명확하게 나옵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쉬워서 잘 맞출 수 있지만 처음보는 개념이 나와서 손을 대지 못하는 문제도 당연히 나옵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풀 수 있는 문제를 나도 쉽게 맞추기 위해서는 기출되었던 개념을 잘 숙지해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중요성은 규훈샘께서도 누누이 강조하기 때문에 이정도로 언급하고, 기출을 보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기출의 핵심은 ‘반복’입니다. 저는 기출문제집인 VEX1, VEX2를 통해 반복을 진행했는데 1월부터 6월까지는 영역별로 기출문제가 나와있는 VEX2를 회독하였습니다. 기본이론 강의를 수강하면서 관련 개념이 기출되었다면 그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이 때 저는 손으로 직접 문제와 중요 개념들을 써보는 필사를 주로 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개인적인 공부방법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손으로 쓰던 밑줄을 치면서 읽던간에 중요한 점은 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는 것입니다. 7월부터 11월까지는 기본이론을 마치고 모의고사를 푸는 기간입니다. 이때는 연도별로 기출문제가 나와있는 VEX1을 회독하였습니다. 우선 2014년도부터의 문제들은 외울 수 있을 정도로 쓰면서 반복하였고, 그 이전의 문제들은 규훈샘의 기출분석 강의를 참고하며 챙길 개념들만 가져간 것 같습니다. 이렇게 기출을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중요한 개념과 중요하지 않은 개념들을 구분하며 암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두 가지 방법에서 보이는 공통점은 결국 암기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규훈샘이 자주 말씀하시는 “임용은 단순 영단어 암기 시험이다.” 라는 말이 처음에는 이해가 안됬지만 공부를 하며 점점 이해가 되었습니다.
실수하는 것을 제일 경계하며 맞출 수 있는 문제는 쉽게 맞추고 틀리라고 내는 문제는 틀리자는 생각을 시험당일까지 가져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제가 최종합격까지 올 수 있었던 이유는 너무 과한 욕심을 내지 않고 하루하루의 과정에 집중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규훈샘이 알려주신 방향과 방법을 그대로 실천하면 실력이 늘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초수생으로서 내가 아직 이 시험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규훈샘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가고 실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감사하게도 좋은 결과를 가질 수 있었고,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도 불안함과 걱정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어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